카카오톡 오픈채팅 서비스는 15년 8월에 출시되었다. 동일한 관심사를 지닌 사람끼리 채팅방을 만들어서 대화할 수 있는 서비스다. 일반채팅과 다르게 익명 커뮤니티의 특징이 있다. 아이디, 전화번호, 친구추가 없이 같은 방에만 있다면 대화를 할 수 있는 방식이다.
최근 26일 정보기술(IT)업계의 데이터를 보면 카카오톡 전체 대화량에서 지인과 대화하는 것을 제외한 오픈채팅 비중은 최대 40%에 달했다. 10% 정도이던 2018년에 비해 큰 성장을 거둔 셈이다.
카카오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올해 오픈채팅 사용자 수는 팬데믹 전인 2019년 대비 76% 증가했다. 같은기간 오픈채팅 내에서 수신·발신량도 약 78% 증가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이런 성장의 이유로 "다른 사람과 필요 이상으로 관계를 맺는 것을 부담스러워하는 젊은 세대 성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팬데믹 이후에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중심의 비대면 소통 법이 오픈채팅 사용자 유입에 큰 부분을 차지했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성장에 힘입어 카카오는 오픈채팅 기능을 강화 중이다. 지난 4월에는 오픈채팅방에서 최대 1500명까지 음성 대화를 할 수 있는 '보이스룸'을 도입했다. 또한 자동응답 역할을 하는 '방장(방 관리자)봇'과 채팅방 입장 조건 설정, 선물하기 기능 등을 추가했다.
지난 3월에 카카오의 새 리더가 된 남궁훈 대표가 주목한 것 역시 오픈채팅의 성장력이다. 남궁훈 대표는 이제 지인 기반 소통을 넘어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용자끼리 소통하는 플랫폼으로 해외에 진출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카카오 유니버스' 계획을 펼쳤다.
김민수 기자 info@dowaseum.org
[저작권자 ⓒ디지털트렌드코리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카카오톡 오픈채팅 서비스는 15년 8월에 출시되었다. 동일한 관심사를 지닌 사람끼리 채팅방을 만들어서 대화할 수 있는 서비스다. 일반채팅과 다르게 익명 커뮤니티의 특징이 있다. 아이디, 전화번호, 친구추가 없이 같은 방에만 있다면 대화를 할 수 있는 방식이다.
최근 26일 정보기술(IT)업계의 데이터를 보면 카카오톡 전체 대화량에서 지인과 대화하는 것을 제외한 오픈채팅 비중은 최대 40%에 달했다. 10% 정도이던 2018년에 비해 큰 성장을 거둔 셈이다.
카카오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올해 오픈채팅 사용자 수는 팬데믹 전인 2019년 대비 76% 증가했다. 같은기간 오픈채팅 내에서 수신·발신량도 약 78% 증가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이런 성장의 이유로 "다른 사람과 필요 이상으로 관계를 맺는 것을 부담스러워하는 젊은 세대 성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팬데믹 이후에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중심의 비대면 소통 법이 오픈채팅 사용자 유입에 큰 부분을 차지했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성장에 힘입어 카카오는 오픈채팅 기능을 강화 중이다. 지난 4월에는 오픈채팅방에서 최대 1500명까지 음성 대화를 할 수 있는 '보이스룸'을 도입했다. 또한 자동응답 역할을 하는 '방장(방 관리자)봇'과 채팅방 입장 조건 설정, 선물하기 기능 등을 추가했다.
지난 3월에 카카오의 새 리더가 된 남궁훈 대표가 주목한 것 역시 오픈채팅의 성장력이다. 남궁훈 대표는 이제 지인 기반 소통을 넘어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용자끼리 소통하는 플랫폼으로 해외에 진출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카카오 유니버스' 계획을 펼쳤다.
김민수 기자 info@dowaseum.org
[저작권자 ⓒ디지털트렌드코리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