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최근에 자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삼성 가우스'를 공개했다.
이 소식은 8일 서울 서초구 서울R&D캠퍼스에서 열린 '삼성 AI 포럼 2023' 행사에서 밝혀졌다. '삼성 가우스'는 삼성리서치에서 개발한 최초의 생성형 AI 모델로, 그 이름은 정규분포 이론을 정립한 수학자 칼 프리드리히 가우스에게 영감을 받아 붙여졌다. 이 모델은 생성형 AI의 무한한 가능성을 상징한다고 삼성은 설명했다.
'삼성 가우스'는 주로 머신 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텍스트 생성, 코드 생성, 이미지 생성 등 세 가지 주요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언어 모델은 문서 요약, 번역 등 업무 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돕고, 코드 모델을 기반으로 한 AI 코딩 어시스턴트 '코드아이'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한다. 또한 이미지 모델은 창의적인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기존 이미지를 수정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에게 큰 편의를 제공한다.
삼성은 먼저 내부 직원들을 위해 '삼성 가우스'를 도입하고, 이후에는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의 제품에도 이 기술을 점진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내년에 출시할 스마트폰과 노트북에 생성형 AI 기능을 탑재할 예정이며, 첫 번째 적용 대상은 프리미엄 스마트폰 '갤럭시S24'로 예정되어 있다.
한편,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 부문은 삼성 가우스 대신 네이버클라우드에서 지난 8월 출시한 기업용 AI 서비스 '뉴로클라우드 포 하이퍼클로바X'를 활용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 서비스는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문서 작성 등에서 AI를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윤재경 기자 info@dowaseum.org
[저작권자 ⓒ디지털트렌드코리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사진 -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최근에 자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삼성 가우스'를 공개했다.
이 소식은 8일 서울 서초구 서울R&D캠퍼스에서 열린 '삼성 AI 포럼 2023' 행사에서 밝혀졌다. '삼성 가우스'는 삼성리서치에서 개발한 최초의 생성형 AI 모델로, 그 이름은 정규분포 이론을 정립한 수학자 칼 프리드리히 가우스에게 영감을 받아 붙여졌다. 이 모델은 생성형 AI의 무한한 가능성을 상징한다고 삼성은 설명했다.
'삼성 가우스'는 주로 머신 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텍스트 생성, 코드 생성, 이미지 생성 등 세 가지 주요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언어 모델은 문서 요약, 번역 등 업무 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돕고, 코드 모델을 기반으로 한 AI 코딩 어시스턴트 '코드아이'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한다. 또한 이미지 모델은 창의적인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기존 이미지를 수정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에게 큰 편의를 제공한다.
삼성은 먼저 내부 직원들을 위해 '삼성 가우스'를 도입하고, 이후에는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의 제품에도 이 기술을 점진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내년에 출시할 스마트폰과 노트북에 생성형 AI 기능을 탑재할 예정이며, 첫 번째 적용 대상은 프리미엄 스마트폰 '갤럭시S24'로 예정되어 있다.
한편,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 부문은 삼성 가우스 대신 네이버클라우드에서 지난 8월 출시한 기업용 AI 서비스 '뉴로클라우드 포 하이퍼클로바X'를 활용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 서비스는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문서 작성 등에서 AI를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윤재경 기자 info@dowaseum.org
[저작권자 ⓒ디지털트렌드코리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