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조미디어(대표 김승현)는 27일 '2024 트렌드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서 메조미디어는 광고 및 미디어 산업에서 주목할 가치 있는 다섯 가지 트렌드를 소개했는데, 그 중엔 △Generative AI(생성적 인공지능) △SNA(Subscription no ad) △OTT(Over-the-Top) △CTV(Connected TV)와 pDOOH(프로그래매틱 디지털 아웃 오브 홈) △E-commerce 등이 포함돼 있다.
첫 번째 트렌드는 생성적 AI이다. 최근 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광고 및 마케팅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생성적 AI는 기존의 일방적인 광고 방법을 넘어서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며 광고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상반기에 출시 예정인 네이버의 'CLOVA for AD'는 생성적 AI를 통합한 광고 플랫폼으로,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고 적절한 맥락에서 초개인화된 광고를 노출시키는 새로운 광고 방식을 도입할 계획이다. 광고 방법의 변화뿐만 아니라 생성적 AI 시대에 기업과 마케터가 가져야 할 능력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두 번째 트렌드는 SNA(Subscription no ad)이다. 유럽 연합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정부들이 맞춤 광고를 규제하기 위한 입법을 도입하거나 촉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글로벌 대형 테크 기업들은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광고가 없는 구독 모델인 SNA를 도입하고 있다. SNA는 인스타그램과 같은 소셜 미디어 사용자들에게 광고를 제거하는 대신 일정한 월간 구독료를 지불하도록 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대형 테크 기업들에게는 새로운 사업 모델로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 번째 트렌드는 OTT이다. OTT는 더 이상 콘텐츠를 시청하는 플랫폼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대상과 시청 데이터를 갖춘 광고 매체로 주목받고 있다. 올해 3분기에는 넷플릭스의 광고 플랜 가입자 수가 2분기에 비해 세 배 증가하고, 매출도 증가하는 등 급속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네 번째 트렌드는 CTV와 pDOOH이다. TV와 외부 광고와 같은 기존 매체는 디지털 기술과 결합되면서 새로운 미디어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CTV와 pDOOH는 정교하고 효율적인 타깃 광고가 가능한 효과적인 마케팅 채널로 떠오르며, 성장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마케팅 분석 기업 WARC에서 발표한 CTV와 DOOH 미디어 시장 예측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에 CTV와 DOOH는 각각 12%와 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각 매체의 광고 시장 규모도 계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마지막 트렌드는 전자 상거래이다. 국내 전자 상거래 시장은 성장률이 5년 만에 처음으로 10% 미만으로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이 둔화된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국내 기업들은 오프라인 및 온라인 스토어와 같은 유통 채널을 통해 제품을 광고하는 소매 미디어 사업에 진출하고 있다.
김민수 기자 info@dowaseum.org
[저작권자 ⓒ디지털트렌드코리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메조미디어(대표 김승현)는 27일 '2024 트렌드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서 메조미디어는 광고 및 미디어 산업에서 주목할 가치 있는 다섯 가지 트렌드를 소개했는데, 그 중엔 △Generative AI(생성적 인공지능) △SNA(Subscription no ad) △OTT(Over-the-Top) △CTV(Connected TV)와 pDOOH(프로그래매틱 디지털 아웃 오브 홈) △E-commerce 등이 포함돼 있다.
첫 번째 트렌드는 생성적 AI이다. 최근 AI 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광고 및 마케팅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생성적 AI는 기존의 일방적인 광고 방법을 넘어서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며 광고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상반기에 출시 예정인 네이버의 'CLOVA for AD'는 생성적 AI를 통합한 광고 플랫폼으로,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고 적절한 맥락에서 초개인화된 광고를 노출시키는 새로운 광고 방식을 도입할 계획이다. 광고 방법의 변화뿐만 아니라 생성적 AI 시대에 기업과 마케터가 가져야 할 능력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두 번째 트렌드는 SNA(Subscription no ad)이다. 유럽 연합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정부들이 맞춤 광고를 규제하기 위한 입법을 도입하거나 촉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글로벌 대형 테크 기업들은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광고가 없는 구독 모델인 SNA를 도입하고 있다. SNA는 인스타그램과 같은 소셜 미디어 사용자들에게 광고를 제거하는 대신 일정한 월간 구독료를 지불하도록 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대형 테크 기업들에게는 새로운 사업 모델로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 번째 트렌드는 OTT이다. OTT는 더 이상 콘텐츠를 시청하는 플랫폼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대상과 시청 데이터를 갖춘 광고 매체로 주목받고 있다. 올해 3분기에는 넷플릭스의 광고 플랜 가입자 수가 2분기에 비해 세 배 증가하고, 매출도 증가하는 등 급속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네 번째 트렌드는 CTV와 pDOOH이다. TV와 외부 광고와 같은 기존 매체는 디지털 기술과 결합되면서 새로운 미디어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CTV와 pDOOH는 정교하고 효율적인 타깃 광고가 가능한 효과적인 마케팅 채널로 떠오르며, 성장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마케팅 분석 기업 WARC에서 발표한 CTV와 DOOH 미디어 시장 예측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에 CTV와 DOOH는 각각 12%와 7%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각 매체의 광고 시장 규모도 계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마지막 트렌드는 전자 상거래이다. 국내 전자 상거래 시장은 성장률이 5년 만에 처음으로 10% 미만으로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이 둔화된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국내 기업들은 오프라인 및 온라인 스토어와 같은 유통 채널을 통해 제품을 광고하는 소매 미디어 사업에 진출하고 있다.
김민수 기자 info@dowaseum.org
[저작권자 ⓒ디지털트렌드코리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