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논란이 되었던 '정부광고지표'의 활용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정부기관 등 광고주가 매체 선정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요청할 때는 참고 자료만 제공할 계획이다.
'정부광고지표'는 2022년부터 도입되었으나, 열독률 조사 기준의 적절성과 신뢰도 문제로 논란이 되어왔다. 이 지표는 정부가 정한 기준에 따라 언론사 순위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현재 정부광고법과 시행령은 정부기관 등 광고주의 의견을 우선적으로 반영하여 홍보매체를 선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광고주가 필요한 자료를 요청할 경우, 문체부는 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문체부와 언론재단은 이러한 법적 근거에 따라 광고주가 매체 선정을 위해 필요한 참고자료를 요청할 경우, 이를 최대한 제공하기로 하였다. 문체부 관계자는 "광고주의 자율적인 매체 선정을 지원하면서도 시장의 신뢰를 잃지 않기 위해 의견 수렴과 모니터링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조치는 불필요한 논란을 방지하고 언론 시장의 신뢰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아론 기자 info@dowaseum.org
[저작권자 ⓒ디지털트렌드코리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논란이 되었던 '정부광고지표'의 활용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정부기관 등 광고주가 매체 선정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요청할 때는 참고 자료만 제공할 계획이다.
'정부광고지표'는 2022년부터 도입되었으나, 열독률 조사 기준의 적절성과 신뢰도 문제로 논란이 되어왔다. 이 지표는 정부가 정한 기준에 따라 언론사 순위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현재 정부광고법과 시행령은 정부기관 등 광고주의 의견을 우선적으로 반영하여 홍보매체를 선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광고주가 필요한 자료를 요청할 경우, 문체부는 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문체부와 언론재단은 이러한 법적 근거에 따라 광고주가 매체 선정을 위해 필요한 참고자료를 요청할 경우, 이를 최대한 제공하기로 하였다. 문체부 관계자는 "광고주의 자율적인 매체 선정을 지원하면서도 시장의 신뢰를 잃지 않기 위해 의견 수렴과 모니터링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조치는 불필요한 논란을 방지하고 언론 시장의 신뢰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아론 기자 info@dowaseum.org
[저작권자 ⓒ디지털트렌드코리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