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me/upload/S201903095c83998ad43a6/17ce176617ceb.png)
최근 구글이 국내 포털에서 사라진 실시간 검색어(이하 '실검') 서비스를 재개하면서 국내 검색 엔진 시장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최근 사이트 하단 검색창을 통해 '인기 급상승 검색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는 기존의 '일별 인기 급상승 검색어'에 이어 실시간 검색어도 자동 완성 기능으로 추가한 것이다. 이로 인해 국내 포털 점유율 하락이 예상되고 있다.
국내 포털 사이트들은 여론 조작에 대한 우려로 실검 서비스를 폐지한 반면, 구글은 이를 도입하여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인터넷 트렌드에 따르면 구글의 국내 검색 점유율은 2022년 29.7%에서 올해 32.3%로 증가한 반면, 네이버와의 격차는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글의 실검 서비스 도입은 더욱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국내 포털 네이버와 다음은 지난해 각각 '트렌드 토픽'과 '투데이 버블'을 선보였지만, 정치권의 반발로 서비스를 철회한 바 있다. 이에 비해 구글은 실검 서비스를 유지하면서 국내 검색 엔진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플랫폼은 정치권 규제에 막혀 관련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고 지적하며, IT 시장의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을 강조했다.
2005년 시작된 네이버와 다음의 실검 서비스는 여론의 관심사를 반영하는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나, 여론 조작 논란으로 신뢰성 문제가 불거지며 중단되었다. 특히 2018년 '드루킹 사건'과 2019년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임명 관련 '실검 전쟁' 등으로 인해 정치권의 압박이 커지면서 네이버는 2021년, 다음은 2020년에 실검 서비스를 폐지했다.
한편, 구글뿐만 아니라 엑스(X·옛 트위터), 마이크로소프트(MS) 빙, 틱톡 등 해외 플랫폼들도 실검과 유사한 트렌드 반영 키워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포털에 대한 차별 논란이 지속될 전망이다. 국내 플랫폼이 정치적 규제에 막혀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반면, 해외 플랫폼들은 이를 통해 이용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김지원 기자 info@dowaseum.org
[저작권자 ⓒ디지털트렌드코리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최근 구글이 국내 포털에서 사라진 실시간 검색어(이하 '실검') 서비스를 재개하면서 국내 검색 엔진 시장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최근 사이트 하단 검색창을 통해 '인기 급상승 검색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는 기존의 '일별 인기 급상승 검색어'에 이어 실시간 검색어도 자동 완성 기능으로 추가한 것이다. 이로 인해 국내 포털 점유율 하락이 예상되고 있다.
국내 포털 사이트들은 여론 조작에 대한 우려로 실검 서비스를 폐지한 반면, 구글은 이를 도입하여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인터넷 트렌드에 따르면 구글의 국내 검색 점유율은 2022년 29.7%에서 올해 32.3%로 증가한 반면, 네이버와의 격차는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글의 실검 서비스 도입은 더욱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국내 포털 네이버와 다음은 지난해 각각 '트렌드 토픽'과 '투데이 버블'을 선보였지만, 정치권의 반발로 서비스를 철회한 바 있다. 이에 비해 구글은 실검 서비스를 유지하면서 국내 검색 엔진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플랫폼은 정치권 규제에 막혀 관련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고 지적하며, IT 시장의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을 강조했다.
2005년 시작된 네이버와 다음의 실검 서비스는 여론의 관심사를 반영하는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나, 여론 조작 논란으로 신뢰성 문제가 불거지며 중단되었다. 특히 2018년 '드루킹 사건'과 2019년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임명 관련 '실검 전쟁' 등으로 인해 정치권의 압박이 커지면서 네이버는 2021년, 다음은 2020년에 실검 서비스를 폐지했다.
한편, 구글뿐만 아니라 엑스(X·옛 트위터), 마이크로소프트(MS) 빙, 틱톡 등 해외 플랫폼들도 실검과 유사한 트렌드 반영 키워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포털에 대한 차별 논란이 지속될 전망이다. 국내 플랫폼이 정치적 규제에 막혀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반면, 해외 플랫폼들은 이를 통해 이용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김지원 기자 info@dowaseum.org
[저작권자 ⓒ디지털트렌드코리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