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브레인이 '카카오디벨로퍼스'에 자체 개발한 한국어 특화초거대 인공지능(AI) 언어 모델 'KoGPT'를 오픈 소스로 지난 13일 공개했다.
'카카오디벨로퍼스'는 웹 서비스, 모바일 앱, 기타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플랫폼 뿐만 아니라 카카오의 다양한 서비스와 연계할 수 있는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개발자 전용 웹사이트이다. 이번에 공개하는 KoGPT API는 이용자가 입력한 한국어를 사전적, 문맥적으로 이해한 후 이용자 의도에 적합한 문장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툴이다.
개발자는 서비스 개발 시에 'KoGPT API'를 적용하면 광고 카피를 쉽게 만드는 등 마케팅, 커머스, 자영업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례로 이용자가 '워시', '바디', '샤워' 등의 핵심 키워드를 입력하면 '스크럽부터 보습까지?' 라는 광고 문구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또 수만 개의 후기를 종합 이해한 후 '2030 여성에게 선물하기 좋은 화장품' 등으로 요약하여 상품 구매시의 이용자들의 선택을 효율적으로 돕는다. 즉 광고 카피 뿐만 아니라 서비스 내 이용자들이 작성한 후기를 보고 긍, 부정 판단 뿐만 아니라 상품의 특징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분류하는 것이다.
AI는 '냉장고를 구매했는데 튼튼하다. 지난번 구매한 헤어드라이어보다 가격이 합리적' 이라는 후기가 있다면 KoGPT가 '튼튼'이라는 단어를 이해하고 해당 상품을 내구성이 뛰어난 제품으로 분류하고 '냉장고' 상품의 후기라는 것을 인식하고 냉장고 상품 후기로 분류할 수도 있다.
카카오브레인은 향후 다양한 상품 후기를 보유한 서비스 플랫폼사나 광고회사 등을 대상으로 파트너십 체결을 하고 서비스 적용 범위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한다. 이번 카카오브레인의 'KoGPT' 공개로 디지털 광고 시장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김예림 기자 info@dowaseum.org
[저작권자 ⓒ디지털트렌드코리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카카오브레인이 '카카오디벨로퍼스'에 자체 개발한 한국어 특화초거대 인공지능(AI) 언어 모델 'KoGPT'를 오픈 소스로 지난 13일 공개했다.
'카카오디벨로퍼스'는 웹 서비스, 모바일 앱, 기타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플랫폼 뿐만 아니라 카카오의 다양한 서비스와 연계할 수 있는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개발자 전용 웹사이트이다. 이번에 공개하는 KoGPT API는 이용자가 입력한 한국어를 사전적, 문맥적으로 이해한 후 이용자 의도에 적합한 문장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툴이다.
개발자는 서비스 개발 시에 'KoGPT API'를 적용하면 광고 카피를 쉽게 만드는 등 마케팅, 커머스, 자영업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례로 이용자가 '워시', '바디', '샤워' 등의 핵심 키워드를 입력하면 '스크럽부터 보습까지?' 라는 광고 문구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또 수만 개의 후기를 종합 이해한 후 '2030 여성에게 선물하기 좋은 화장품' 등으로 요약하여 상품 구매시의 이용자들의 선택을 효율적으로 돕는다. 즉 광고 카피 뿐만 아니라 서비스 내 이용자들이 작성한 후기를 보고 긍, 부정 판단 뿐만 아니라 상품의 특징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분류하는 것이다.
AI는 '냉장고를 구매했는데 튼튼하다. 지난번 구매한 헤어드라이어보다 가격이 합리적' 이라는 후기가 있다면 KoGPT가 '튼튼'이라는 단어를 이해하고 해당 상품을 내구성이 뛰어난 제품으로 분류하고 '냉장고' 상품의 후기라는 것을 인식하고 냉장고 상품 후기로 분류할 수도 있다.
카카오브레인은 향후 다양한 상품 후기를 보유한 서비스 플랫폼사나 광고회사 등을 대상으로 파트너십 체결을 하고 서비스 적용 범위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한다. 이번 카카오브레인의 'KoGPT' 공개로 디지털 광고 시장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김예림 기자 info@dowaseum.org
[저작권자 ⓒ디지털트렌드코리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