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구글
'챗GPT'가 연일 화제로 떠오르는 가운데, 빅테크 대표주자인 구글 및 마이크로소프트 또한 인공지능(AI) 시장 주도권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구글은 6일(현지시각) 오픈 AI의 챗GPT에 맞설 AI챗봇 '바드(Bard)' 출시를 공식 발표하며 AI 전쟁에 뛰어들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WSJ)이 보도했다. 관련하여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의 최고경영자를 겸임하는 피차이는 이날 사내 블로그를 통해 "새로운 대화형 AI 서비스 '바드(Bard)'가 신뢰하만한 테스터들에게 개방될 것" 이라며, "앞으로 몇 주 안에 대중에 공개될 계획"이라 밝혔다. 그간 챗 GPT에 대항하는 챗볼을 구글에서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번에 공식 발표한 것이다. 또한 구글은 조만간 AI 기반의 구글 검색 도구도 출시할 예정이라 밝혔다.
이와 같은 구글의 바드출시 발표는 지난해 11월 오픈 AI가 챗 GPT를 공개한지 3개월 만이다. 챗 GPT는 불과 5일 만에 이용자 100만 명을 돌파하는 등 세계적인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검색포털을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으며 이와 관련하여 지난달 모건스탠리는 챗GPT가 구글을 위협할 수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하여 구글은 위기감을 직감하며 사내에 '코드 레드' 경보를 발령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바드 출시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보인다.
구글은 바드가 복잡한 주제를 단순화하는데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예를들어 미 항공우주국 제임스 웹 우주만원경의 새로운 발견을 9세 어린이에게 설명할 수 있으며, 아카데미 시상식 후보에 오른 두 편의 영화를 비교하거나, 냉장고에 있는 식재료를 토대로 점심 메뉴 아이디어를 얻을 수도 있다.
바드의 출시와 함께 마이크로소프트(MS) 또한 "7일 몇가지 흥미로운 프로젝트 진척 상황을 공개할 것" 이라며 이벤트를 예고했다. 이와 관련하여 AI 챗봇 기능이 탑재된 검색엔진 '빙'을 선보여 구글에 도전장을 내밀 것으로 일각에서 관측하고 이다. 관련하여 MS 는 지난달 제휴관게인 오픈 AI에 100억 달러를 추가 투자해 자사 서비스와 제품에 챗 GPT 기능을 탑재할 계획이라 밝혔다.
또한 중국 최대 인터넷 검색업체인 바이두도 경쟁에 뛰어들었다. 바이두는 7일 "챗 GPT와 유사한 서비스인 '어니봇'을 내달 출시할 예정"이라 발표했다.
이러한 AI 챗봇에 대한 업계의 경쟁이 본격화 되는 가운데, 시장에서 누가 우위를 점하게 될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김예 기자 info@dowaseum.org
[저작권자 ⓒ디지털트렌드코리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사진 = 구글
'챗GPT'가 연일 화제로 떠오르는 가운데, 빅테크 대표주자인 구글 및 마이크로소프트 또한 인공지능(AI) 시장 주도권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구글은 6일(현지시각) 오픈 AI의 챗GPT에 맞설 AI챗봇 '바드(Bard)' 출시를 공식 발표하며 AI 전쟁에 뛰어들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WSJ)이 보도했다. 관련하여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의 최고경영자를 겸임하는 피차이는 이날 사내 블로그를 통해 "새로운 대화형 AI 서비스 '바드(Bard)'가 신뢰하만한 테스터들에게 개방될 것" 이라며, "앞으로 몇 주 안에 대중에 공개될 계획"이라 밝혔다. 그간 챗 GPT에 대항하는 챗볼을 구글에서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번에 공식 발표한 것이다. 또한 구글은 조만간 AI 기반의 구글 검색 도구도 출시할 예정이라 밝혔다.
이와 같은 구글의 바드출시 발표는 지난해 11월 오픈 AI가 챗 GPT를 공개한지 3개월 만이다. 챗 GPT는 불과 5일 만에 이용자 100만 명을 돌파하는 등 세계적인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검색포털을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으며 이와 관련하여 지난달 모건스탠리는 챗GPT가 구글을 위협할 수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하여 구글은 위기감을 직감하며 사내에 '코드 레드' 경보를 발령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바드 출시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보인다.
구글은 바드가 복잡한 주제를 단순화하는데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예를들어 미 항공우주국 제임스 웹 우주만원경의 새로운 발견을 9세 어린이에게 설명할 수 있으며, 아카데미 시상식 후보에 오른 두 편의 영화를 비교하거나, 냉장고에 있는 식재료를 토대로 점심 메뉴 아이디어를 얻을 수도 있다.
바드의 출시와 함께 마이크로소프트(MS) 또한 "7일 몇가지 흥미로운 프로젝트 진척 상황을 공개할 것" 이라며 이벤트를 예고했다. 이와 관련하여 AI 챗봇 기능이 탑재된 검색엔진 '빙'을 선보여 구글에 도전장을 내밀 것으로 일각에서 관측하고 이다. 관련하여 MS 는 지난달 제휴관게인 오픈 AI에 100억 달러를 추가 투자해 자사 서비스와 제품에 챗 GPT 기능을 탑재할 계획이라 밝혔다.
또한 중국 최대 인터넷 검색업체인 바이두도 경쟁에 뛰어들었다. 바이두는 7일 "챗 GPT와 유사한 서비스인 '어니봇'을 내달 출시할 예정"이라 발표했다.
이러한 AI 챗봇에 대한 업계의 경쟁이 본격화 되는 가운데, 시장에서 누가 우위를 점하게 될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김예 기자 info@dowaseum.org
[저작권자 ⓒ디지털트렌드코리아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